당화혈색소 6.7 의미 - 당화혈색소수치와 공복혈당값 비교
대한민국의 성인 당뇨병 환자 600 만명시대, 이 수치는 10년새에 두 배이상 크게 증가한 수치이며 당뇨병 전단계 인구까지 더하면 우리나라 국민 2000만명이 당뇨병 또는 당뇨 전단계 라는 의미 입니다.
특히 2~30세의 젊은세대에서 당뇨 환자가 크게 증가, 과거 노인병으로 치부되던 당뇨병이 이제는 젊은세대라고 해서 안심할 있는 수준이 아닙니다.
이번 포스팅은 당뇨를 관리하는 척도인 혈당 못지 않게 중요한 당화혈색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화혈색소란 무엇이며 당화혈색소 6.7 의미는?
당화혈색소 6.7
먼저 당뇨병을 진단하는 검사는 크게 두 가지로 가장 많이 알고 있는 것이 바로 '혈당검사'인데 혈당 검사는 혈액 속에 있는 포도당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로 당뇨병을 진단하는 수단 입니다.
하지만 여기에 한 가지를 더 추가해야 합니다. 바로 당화혈색소 검사 입니다.
당화혈색소란
당화혈색소란 우리 피속 적혈구내에는 혈색소(헤모글로빈)라고 하는 중요한 단백질이 들어있습니다. 혈당이 높아지면 포도당이 혈색소 일부와 결합하게 되는데, 이렇게 혈색소에 포도당이 결합된 형태를 '당화혈색소' 라고 부릅니다.
왜 당화혈색소 검사를 해야하는가?
혈당검사는 측정 당시의 포도당 농도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화혈색소는 적혈구의 수명에 따라 최근 2~3개월 이내의 평균적인 혈당을 짐작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당뇨 및 혈당 관리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혈당검사와 함께 당화혈색소 검사를 같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화혈색소 검사방법
당화혈색소 검사는 팔의 정맥 또는 손끝의 모세혈관에서 혈액을 채취한 뒤, 분석 장비를 사용해 측정합니다.
혈당검사 수치의 경우 건강한 사람이라도 식사 전후에 따라 또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아도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8시간 이상 금식 후 측정하지만 당화혈색소 검사는 공복 여부와 상관없이 검사할 수 있습니다.
당화혈색소 검사는 결과가 나오기 까지 하루 정도가 소요 됩니다.
당화혈색소 6.7 %
먼저 당화혈색소 정상치는 5.7% 미만일 때 해당하며 만약 6~8% 범위 안에서 측정된다면 당뇨병 또는 당뇨 전단계라고 판단합니다.
만약 당화혈색소 6.7 % 이상이면 당뇨병 의심단계로 만약 더 높아진다면 망막병증과 당뇨발, 고지혈증, 고혈압과 같은 합병증이 유발될 가능성이 상당이 높으므로 각별하게 주의해야 하며 3다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소변량이 늘어나는 '다뇨'
- 갈증이 나서 물을 많이 마시는 '다음'
- 음식을 많이 먹지만 몸은 마르는 '다식'
당화혈색소수치와 공복혈당값 비교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표한 당뇨병 진료지침에 따르면 당화혈색소 수치로 평균 혈당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당화혈색소 5% - 공복 혈당 97mg/dL
당화혈색소 6% - 공복 혈당 126mg/dL
당화혈색소 7% - 공복 혈당 154mg/dL
당화혈색소 9% - 공복 혈당 212mg/dL
당화혈색소 10% - 공복 혈당 240mg/dL
당화혈색소 11% - 공복 혈당 269 mg/dL
당화혈색소 12% - 공복 혈당 공복혈당 298 mg/dL
함께 읽으면 좋은글
달개비의 효능!! 닭의장풀 먹는법과 부작용 알아보세요
이번 포스팅은 달개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달개비(닭의장풀) 효능과 먹는법 그리고 부작용은? 달개비란 '닭의 볏을 닮은 꽃잎을 지닌 풀' 모양으로 닭장 옆에서도 잘 자란다고 하여 '닭의장
zmdzmddlrhkd.tistory.com